TON(The Open Network)은 텔레그램 팀이 시작한 프로젝트로 최대 수백만 건의 트랜잭션 처리, 확장을 고려한 분산 데이터 저장, 텔레그램과 연동이 용이한 점을 바탕으로 각광받는 Layer 1 블록체인 중 하나입니다.
LAB3 팀은 TON DApp 개발 및 커뮤니티가 더욱 활성화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TON의 Whitepaper, Documentation을 분석하여 DApp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이해하기 쉽도록 작성하려 노력했습니다.
Base Structure
TON은 추후 네트워크 확장 및 트래픽 과부하를 고려하여 블록체인 또한 샤드 구조로 개발되었습니다.
샤드로 분할되지 않을 고유한 1개의 Masterchain과 N개의 Workchain(최대 약 43억개)으로 구분되는데요.
Masterchain은 블록 검증 그룹에게 블록을 채굴하게 하거나 Workchain을 검증하는 등(최신 블록 해시를 Masterchain에 저장)의 TON 생태계 유지를 위한 역할을 수행합니다.
반면 Workchain은 실제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네트워크로 일반적인 스마트 컨트랙트 배포 및 호출은 모두 Workchain에서 수행됩니다.
네트워크 확장이 고려되었기 때문에 Workchain이 TVM(TON Virtual Machine) 기반일 필요는 없습니다. 블록 검증 그룹에게 과반수의 승인을 받으면 어떤 체인이던지 TON의 Workchain으로 추가될 수 있습니다. 실제로 TON 재단도 Bitcoin과 EVM 기반 체인을 Workchain에 추가하겠다고 여러 번 언급했지만 현재까지의 로드맵에 Workchain 추가는 스케줄 되지 않고 있습니다.
현재는 TON 생태계가 크게 활성화 되지 않아 1개의 Workchain(Basechain)만 있으며 이 Workchain은 Masterchain과 동일하게 TON을 기축통화로 사용하고 TVM(TON Virtual Machine) 기반으로 동작합니다.
TON Components
TON은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설계되어 있습니다.
1. P2P 네트워크 (TON P2P Network)
- TON 블록체인에 접근하는 데에 사용되며 트랜잭션 전송, 계정 및 스마트 컨트랙트 상태 업데이트 정보 전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2. 분산 파일 저장소 (TON Storage)
- 블록 및 상태 데이터의 스냅샷을 저장하는 토렌트와 같은 분산 스토리지
3. 네트워크 프록시 (TON Proxy)
- 익명으로 P2P 네트워크에 접근할 때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록시
4. 분산 해시 테이블 (TON DHT)
- 토렌트 트래커(파일을 실제로 들고 있는 노드 추적)로 사용되는 분산 해시 테이블
5. 서비스 플랫폼 (TON Services)
- 스마트폰으로 쉽게 TON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
6. 도메인 (TON DNS)
- 사람이 읽기 쉬운(Human-Readable) 이름을 지갑 주소, 스마트 컨트랙트, 네트워크 노드에 할당
7. 결제 (TON Payments)
- 소액 결제 채널을 통해 서비스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
TON 프로젝트는 이러한 구성요소를 통해 소수의 암호화폐 홀더 뿐만 아니라 기존 Web2 사이드의 유저가 서비스 이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며 텔레그램을 포함한 여러 SNS 플랫폼에도 TON 블록체인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.
Consensus Algorithm: Catchain Protocol
TON은 합의 알고리즘으로 Catchain Protocol을 사용합니다.
Catchain Protocol은 지분 증명(Proof of Stake) 방식과 유사하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.
1. 블록 검증 그룹 선정
- 스테이킹한 TON 코인 기반으로 블록을 검증할 그룹을 선정합니다.
2. 라운드 검증
- 블록 생성 후 검증 그룹을 통해 과반수(2/3)의 투표를 얻어 승인되어야 네트워크에 배포됩니다.
위와 같은 프로세스를 통해 체인 포크 발생을 사전에 방지합니다.
LAB3 Official Channels
- Website: https://lab3.tech
- Email: contact@lab3.tech